제 3유형 같은 경우 제일 많이 나온 것은 카이제곱, pvalue, t분포 등 통계량에 대한 것이다.또한 회귀 문제로 회귀계수, pvalue값, 오즈비, 잔차 이탈 등을 구한다. - 샤피로 검정을 통해 표본이 정규 분포에서 추출 된 것인지 확인 유의 수준이 5%일 때 pvalue값을 확인from scipy.stats import shapiroprint(shapiro(df)) - 카이제곱 독립성 검정 : 유의 수준이 5%일 때 pvalue값을 확인from scipy.stats import chi2_contingency# 데이터 배열 생성 (빈도로 변환)data = np.array([[do_male, dont_do_male], [do_female, dont_do_female]])# 카이제곱 검정 수행ch..